실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의견 (VOC, 인터뷰 등)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을 기획하거나, 기존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메이커스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. 특히 공식 홈페이지 같은 경우에는 가장 많은 트래픽을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대규모의 데이터나 사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기획해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. 또한 욕심내는 만큼 스스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발굴하고, 새로운 서비스 영역까지 역할을 확장할 수 있는 곳이에요.
박이정∙공식 홈페이지 팀 PM ⛵
기존 유저가 아닌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는 피처를 작업하면서 시야를 넓힐 수 있었어요.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예정인 피처인 만큼, 내부적으로 실제적인 검증 절차를 밟을 수 있는 것도 큰 환경적 장점이라고 생각해요.
김은수∙공식 홈페이지 팀 PD 🎨
메이커스에는 현재 활동회원, 명예회원, 메이커스 회원 등 다양한 형태의 유저가 존재해요. 저 같은 경우 플랫폼 디자이너로서 프로덕트 각각의 단위가 아닌 전체의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한데, 유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적었어요. 리서치팀에서 다양한 입장에서의 생각들을 가까이서 들어볼 수 있었어요. 또한 각 프로덕트 팀에서 의뢰받은 리서치 요청서를 통해 어떤 가설을 검증하고 싶은지 살펴보고, 프로덕트에 반영되는 과정을 함께 겪어가는데 의의가 있었던 활동이었던 것 같아요. 특히 학교 전공수업에서 경험했던 리서치 과정보다 훨씬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유저의 목소리를 집중적으로 분석해보고 싶다면 리서치팀 활동을 적극 추천합니다!
노영선∙리서치 TF Researcher 🔎
조직이 강한 이유는 사람들이 모여 서로 보완하고 시너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이에요. 모임 서비스를 만드는 크루팀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SOPT라는 조직이 ‘연결’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미션을 가지고 서비스를 만들었어요. 사용자들이 더 원활하고 즐겁게 모일 수 있도록 제품을 개선하고 PM과 함께 ‘모이고 싶은 환경’을 만들어 리텐션을 유도하는 방법을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. 크루 PD로서의 활동 덕분에 프로덕트의 확장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며 선택의 기준을 잡아가는 능력이 성장할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었습니다.
백송현∙크루 팀 PD 🎨
실제 유저가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면서, 실전적인 이슈들을 접하고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개발자로서 부쩍 성장할 수 있었어요. 또 유저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, 피드백을 반영해서 프로덕트를 발전시키는 경험은 메이커스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. 현실과 맞닿아 있는, 살아 숨쉬는 프로덕트를 운영하며 실제 개발자의 모습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메이커스 합류를 망설이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:)
김현수∙크루 팀 FE 🚀
회사가 아닌 프로젝트에서 이미 라이브 중인 프로덕트의 PM을 맡는 것은 매우 흔치 않은 일인데, 메이커스에서는 이것이 가능했어요. 매 기수마다 확실한 유저가 보장된 서비스를 운영함과 동시에 고도화하는 과정을 통해 어느 프로젝트보다 많은 것을 배우며 성장할 수 있었어요. 특히, 각 분야에서 매우 뛰어난 분들로 구성된 메이커스 조직이기에 함께하는 과정이 더욱 뜻 깊었다고 생각했어요.
구경민∙크루 팀 PM ⛵
대학생 신분으로서 유저가 활발히 사용하는 서비스를 운영해볼 기회가 흔치 않기 때문에 의미가 컸어요. 특히 “크루” 서비스는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개발자로서 안정성에 대해 깊게 고민하며 큰 성장을 할 수 있었어요.
송민규∙크루 팀 BE 🗂
새로운 기능을 만들고, 데이터를 보고 개선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제 제품에 대한 오너십을 완전하게 가질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었어요. 열심히 만들었지만 아무런 상호작용이 없는 서비스를 만들 때 가장 힘들었었는데, 메이커스에서는 이미 사용자가 보장된 서비스를 만들었기 때문에 좋은 소리든, 나쁜 소리든 유저의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다는 게 가장 행복했답니다! 오너십을 가진 조직 문화를 경험해보고 싶다면 메이커스 활동을 꼭 추천드립니다!
이화정∙플레이그라운드 팀 PD 🎨
처음 메이커스에 들어왔을 때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학업과 취준, 회사, 메이커스를 병행하게 되면서 생각보다 메이커스에 몰입하지 못했던 것 같아서 아쉬움도 많이 남고, 팀원들에게 미안함도 큰 것 같아요. ㅎㅎ… 그럼에도 작업을 하면서 배우는 점도 많았고, 많이 성장했기에 메이커스 활동에 고민 중인 분들이 계신다면 적극 추천드립니다!! 메이커스 파이팅!
나림∙크루 팀 FE 🚀
실제 유저가 있는 서비스를 유지보수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선하는 경험을 하고 싶다면 솝트 메이커스만한 동아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.
이혜준∙플레이그라운드 팀 FE 🚀
사용자가 명확하고, 사용자의 목소리를 직접적으로, 빠르게 제품 개선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었어요. 리서치를 하면, 해당 결과를 실제 반영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고, 심지어 반영이 어려운 경우도 꽤 있는데, 메이커스에서는 모두가 사용자(SOPT 구성원)에 진심이어서 적극적으로 협업하며 리서치 결과를 제품 개선에 반영해주셔서 뜻 깊었습니다. 또한 같은 관심사를 가진 잘 맞는 사람들과 즐겁게 활동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.
김인우∙리서치 TF Researcher 🔎